안녕하세요 건강한 음식 '건음'입니다.
체리는 특유의 달콤한 맛과 탱글한 식감으로 여름철 인기 과일 중 하나입니다. 그런데, 겨울 한가운데 마트에 등장하는 '제철 체리'를 보신 적 있으신가요? 사실 체리는 국내산 외에도 수입산이 주를 이루며, 생산국에 따라 제철이 다르다고 합니다. 여름에는 미국산 워싱턴 체리, 겨울에는 남반구 칠레산 체리가 우리 식탁에 오르게 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체리의 제철 시기, 수입 국가별 특징, 건강 효능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 인기글
✔ 불면증에 좋은 천연 수면제 3가지(감태·바나나·대추)
혈당 걱정 없는 달콤한 간식, 체리 효능과 여름·겨울 제철 달라지는 이유
체리는 보통 이맘때나 더운 여름에 즐겨 먹습니다. 하지만 한 겨울에도 '제철 체리'가 등장합니다. 국가별로 수확하는 때가 달라 제철 시기가 달라져서입니다.
국내산 체리는 5월에서 7월까지가 제철입니다. 마트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미국산 체리의 제철도 5월부터 시작해 8월까지입니다. 반면 칠레는 12월에서 2월이 제철이라고 합니다.
국내서 주로 맛보는 미국산 체리는 일명 '워싱턴 체리'로 알려진 미국 북서부 체리입니다. 미국 북서부 체리협회에 따르면 미국 북서부 체리는 우리나라가 수입하는 미국산 체리의 약 70%를 차지한다고 합니다. 북서부는 화산지대 특유의 비옥한 땅과 풍부한 일조량, 일교차가 18도 이상 벌어지는 기온 등 체리 재배에 적합한 자연환경을 갖춘 지역이라고 합니다. 워싱턴의 비롯해 오리건·아이다호·유타·몬태나 5개 주에서 생산한다고 합니다. 6월 말부터 8월 중순까지 수확한 후, 항공을 이용해 한국으로 수송됩니다. 미국 북서부 체리는 여름인 7월 말부터 8월 중순까지 수확한 후, 항공을 이용해 한국으로 수송된다고 합니다. 미국 북서부 체리는 여름인 7월 2일을 '체리 데이'로 지정해 홍보하고 있다고 합니다.
겨울에는 칠레 체리를 맛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겨울일 때 남반구에 있는 칠레는 여름을 맞이해 체리를 수확하기 때문입니다.
체리는 칠레의 대표 수출품입니다. 치레중앙은행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칠레 체리는 과일 중 가장 높은 수출액인 35억 7400만 달러(약 4조 9850억 원)를 달성했습니다. 칠레 농업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 5년간(2019~2024) 칠레의 체리 나무 재배 면적은 약 2배 넓어졌습니다.
다만 지난해에는 칠레산과 미국산 모두 수확이 감소해 수입량도 줄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수입식품정보 마루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체리 수입량은 1만 4000톤이라고 합니다. 전년 대비 21.9% 감소했습니다. 공급국이 겪은 기후 위기 영향 때문이라고 합니다.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일조량 부족해 작황이 부진했습니다. 칠레서도 극심한 가뭄으로 체리 수확이 어려웠다고 합니다.
체리는 '항염' 효능이 뛰어난 과일로 유명합니다. 안토시아닌, 멜라토닌, 케르세틴 등 천연 항산화물질이 풍부합니다. 숙면을 유도하는 멜라토닌도 다량 들어 있습니다. 특히 타트체리에 많습니다. 타트체리는 흔히 먹는 달콤한 체리보다 신맛이 강하고 붉은색이 짙은 품종입니다.
혈당지수(GI)가 매우 낮다는 점도 체리의 강점입니다. 혈당지수는 22로 '저혈당' 식품에 속합니다. 사과나 배, 석류보다도 낮은 수치입니다. 음식 섭취 시 상대적으로 혈당을 덜 올려 혈당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체리 보관 Tip
1. 씻기 전 보관이 원칙
체리는 껍질이 얇고 수분에 약해 씻고 나면 쉽게 무를 수 있다고 합니다. 먹기 직전에 씻고, 보관할 때는 씻지 않은 상태로 보관합니다.
2. 냉장 보관은 필수
실온에 두면 당도가 빨리 줄고 금방 상할 수 있습니다. 지퍼백이나 밀폐용기에 넣고 냉장 보관하면 5~7일 정도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3. 냉동 보관도 가능
장기 보관하고 싶다면 체리를 깨끗이 씻고 꼭지를 제거한 뒤, 물기를 닦꼬 낱개로 얼려 보관하면 됩니다. 냉동 체리는 스무디, 잼, 베이킹용으로 활용하기 좋습니다.
타트체리 vs 스위트체리 비교
타트체리는 생으로 구하기 어려워 대부분 즙, 보충제, 냉동과일 형태로 접하게 됩니다.
항목 | 타트체리(Tart Cherry) | 스위트체리(Sweet Cherry) |
맛 | 신맛 강함 | 달콤한 맛 |
색상 | 진한 붉은색 | 밝은 빨강~검붉은색 |
용도 | 주로 가공용(주스, 농축액, 보충제 등) | 생과로 섭취, 디저트 |
주요 효능 | 멜라토닌으로 숙면, 항염 효과 탁월 |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여 노화 방지, 심혈관 건강에 유익 |
생산 국가 | 주로 미국 미시간, 유럽 일부 | 미국, 칠레 등 전 세계 |
간단한 체리 레시피
1. 체리 요거트볼
재료 : 체리, 그릭요거트, 그래놀라, 꿀
- 요거트를 그릇에 담고, 체리를 반으로 잘라 씨를 제거해 올립니다.
- 그래놀라, 꿀을 취향껏 얹으면 완성입니다.
- 아침 대용이나 건강 간식으로 좋습니다.
2. 체리 스무디
재료 : 냉동 체리 1컵, 바나나 1개, 우유 또는 두유 1컵
- 모든 재료를 믹서에 갈아줍니다.
- 타트체리 냉동을 쓰면 항염 효과 있는 건강 스무디가 완성됩니다.
3. 체리 샐러드
재료 : 체리, 루꼴라 또는 어린잎 채소, 치즈(페타나 리코타), 견과류, 발사믹 드레싱
- 채소에 씨를 뺀 체리, 치즈, 견과류를 얹고 드레싱을 뿌리면 됩니다.
- 과일+채소의 조화가 뛰어난 여름 샐러드입니다.
체리로 이런 요리도? 상큼달콤 체리 버거 만들기 레시피
체리로 이런 요리도? 상큼달콤 체리 버거 만들기 레시피
안녕하세요 니~킥입니다. 여름이면 꼭 먹어야 할 제철 과일 중 하나, 바로 체리! 새콤달콤한 체리는 디저트로만 먹는다고요? 오늘은 체리를 색다르게 활용해 만든 체리 버거 레시피를 소개해 드
plantfood.tistory.com
2023.08.03 - [건강한 식재료] - 한국도 '체리온탑'(체리 효능 및 활용성)
한국도 '체리온탑'(체리 효능 및 활용성)
안녕하세요 건강한 음식 '건음'입니다. 오늘은 최근 한국에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여름 제철 과일 체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인기글 ✔ 피부 곰팡이균(백선증) 치료법 15가지 ✔ 소라 구
myhealthy-food.com
2023.10.04 - [건강한 식재료] - 운동선수들이 즐겨먹는 타트체리 효능
운동선수들이 즐겨먹는 타트체리 효능
안녕하세요 건강한 음식 '건음'입니다. 오늘은 운동선수들이 즐겨 먹는 타트체리 효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인기글 ✔ 피부 곰팡이균(백선증) 치료법 15가지 ✔ 소라 구입법과 손질법(타액
myhealthy-food.com
2024.05.18 - [건강한 음식] - 체리 요거트 바크 만들기
체리 요거트 바크 만들기
안녕하세요 건강한 음식 '건음'입니다. 오늘은 지금부터 여름까지 즐길 수 있는 요리로 제철 체리로 만든 '체리 요거트 바크' 만드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인기글✔ 피부 곰팡이균(
myhealthy-food.com
2025.04.12 - [건강한 식재료] - 천연 비타민 C 풍부한 식품 BEST 7
천연 비타민 C 풍부한 식품 BEST 7
안녕하세요 건강한 음식 '건음'입니다. 오늘은 천연 비타민 C 풍부한 식품 BEST 7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인기글음식 궁합(찰떡궁합 VS 상극 음식)와인 종류와 와인 종류별 특징건강한
myhealthy-food.com
자료 = 리얼푸드
여름과 겨울을 가리지 않고 맛볼 수 있는 체리는 단순한 간식을 넘어 건강까지 챙길 수 있는 매력적인 과일입니다. 특히 혈당이 낮아 당뇨나 혈당 관리를 필요로 하는 분들에게도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다가오는 제철에는 신선한 체리를 챙겨보시는 건 어떨까요? 위성턴 체리든, 칠레 체리든, 단신의 건강한 간식 한 알이 되어줄 것입니다. 그럼 여기까지 혈당 걱정 없는 달콤한 간식, 체리 효능과 여름·겨울 제철 달라지는 이유에 대해 소개해 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건강한 식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동 후 다리에 붉은 반점? 운동유발성 혈관염 원인부터 예방법까지! (0) | 2025.05.21 |
---|---|
바다의 보물 '군소' 이렇게 먹으면 건강해진다! 효능·레시피·주의사항 (2) | 2025.05.19 |
소라 내장·침샘 제거법과 요리법 (1) | 2025.05.10 |
블랙 올리브 vs 그린 올리브 (1) | 2025.04.30 |
세발나물·함초·칠면초·갯질경이(염생식물) 대표 효능 (1) | 2025.04.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