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건강한 음식 '건음'입니다.
오늘은 겨울철 건조한 피부 수분 지키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인기글
겨울철 건조한 피부 수분 지키는 방법
온 세상이 바싹바싹 건조한 계절. 피부는 늘 수분이 고픕니다. 겨울철 특히 더 신경 써야 할 피부 보습에 관한 정보을 알아보겠습니다.
피부의 수분을 빼앗는 건조한 대기
겨울만 되면 피부가 갈라지고 따갑다고 호소하는 이들이 많습니다. 이는 피부가 너무 건조해서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피부가 건조하다는 것은 피부의 수분이 부족하다는 신호입니다. 겨울은 일 년 중에서도 대기가 특히 건조한 계절인 데다 찬바람이 피부에 많은 자극을 주기 때문에 피부의 수분 유지 능력이 저하될 수밖에 없습니다.
자칫 계절 특성상 피부 상태가 일시적으로 악화되었다가 저절로 좋아질 거라 여기기 쉽지만 이는 잘못된 생각입니다. 심할 경우 피부 질환으로 발전할 위험이 있으므로 피부 건강을 위해서는 환경과 생활 습관을 꼼꼼하게 점검해야 합니다.
40~60%로 실내 적정 습도 유지
피부가 건조할 경우 가려움, 따가움, 각질이 일어나며 붉은 반점이 생기거나 심한 경우 피부가 갈라지기도 합니다. 피부가 건조해지는 요인은 다양한데, 일차적으로는 건조한 날씨나 건조한 실내 환경이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과도한 스트레스나 자외선, 혹은 세안을 지나치게 하는 행위 등도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선적으로 실내 환경을 점검할 필요가 있습니다. 겨울철 적정 실내 온도는 18~21℃, 습도는 40~60%로 적정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기 위해 가습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은 방법입니다.
만약 가습기가 없다면 젖은 빨래를 널어두거나 미니 수족관을 두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실내 공기를 건조하게 만드는 히터 등 난방기기 사용 시에는 더욱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하루 물 8잔 이상 수분 섭취
날씨가 추울 때는 더울 때에 비해 갈증을 덜 느끼게 됩니다. 때문에 겨울철에는 수분 섭취를 덜 하게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 몸이 필요로 하는 수분은 일정하므로 충분한 물 마시기를 습관화해야 합니다.
일반적인 성인의 경우 물은 하루에 8잔 이상 마시기를 권장하는데, 체내 수분 부족이 피부 건조와도 밀접하게 연결되는 까닭입니다. 이 외에 수분이 풍부한 과일과 채소, 단백질이 풍부한 닭고기와 콩류,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 생선과 견과류 등을 꾸준히 먹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꼼꼼한 피부 보습과 자외선 차단
메마른 피부에 가장 즉각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은 보습입니다. 따라서 틈틈이 수분감이 충분한 보습제를 발라 피부 표면에 탄탄한 수분막을 만들어주어야 합니다. 특히 세안이나 샤워 후에는 피부의 수분이 급격하게 빠져나가기 때문에, 물기를 제거한 후 가급적 빨리 보습제를 바르는 것이 좋습니다. 일과 중 자주 씻게 되는 손 역시 수시로 보습제를 발라주기를 권장합니다.
과도한 세안도 금물입니다. 두세 번씩 거품 세안을 할 경우 피부가 쉽게 건조해지는 것은 물론, 자극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세안과 목욕은 너무 긴 시간 동안 하기보다는 짧게 끝내는 것이 좋으며, 피부 건조 예방을 위해 물 온도를 40℃ 이하로 유지하기를 권장합니다.
또한 피부를 건조하게 만드는 주범 중 하나인 자외선 차단도 신경 써야 합니다. 강한 햇볕이 내리쬐는 여름철이 아니라도 자외선은 언제나 존재하고 피부에 영향을 미치므로 자외선 차단제를 꼼꼼하게 바르고, 외출할 때는 모자나 선글라스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자료 = 국민건강보험공단
그럼 여기까지 겨울철 건조한 피부 수분 지키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 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짜게 먹으면 장 건강 해친다! (0) | 2025.02.21 |
---|---|
뇌졸중 원인과 증상 및 예방법 (0) | 2025.02.20 |
물 건강하게 마시는 방법 (0) | 2025.02.19 |
마른 비만 내장 지방 주의! 올바른 식생활은? (1) | 2025.02.06 |
위궤양 증상(찌르는 듯한 통증과 속 쓰림)과 원인 및 예방법 (0) | 2025.01.27 |
댓글